마케팅 용어 사전

 

가격 price :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제공받은 사람이 그에 대한 반대급부로서 상대방에게 주는 유형적 및 무형적 가치의 총합. 대체로 화폐액으로 표시되며 수강료, 임대료, 인지, 우표, 월급, 통행료, 수수료, 사례금 등의 명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가격단계정책 price lining policy : 대체로 소매점에서 품목별로 정확한 가격을 구사하지 않고 모든 취급품목들을 몇 개의 가격단계로만 구분하여 판매하는 정책. 특히 단 하나의 가격단계만을 가짐으로써 모든 품목을 동일한 가격에 판매하는 정책을 균일가격정책이라고 한다.

가격차별화 price discrimination :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두 개 이상의 (세분)시장에 대하여 다른 가격을 적용하는 일.

가격혜택 price deals : 마케터가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가격 상의 이득으로서 할인이나 공제, 하나의 가격으로 두 개 제공(2 for 1 price deals) 등이 있다.

가계구매 family purchase : 가계구성원들의 공통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통적인 재원으로부터 행하여 지는 제품구매로서 의사결정단위의 역할분담이 이루어 진다.

가변가격정책 variable pricing policy : 고객과의 개별적인 협상(흥정)을 통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정책. 가격차별화로 오인되어 제재를 받을 위험이 있다. ⇔ 단일가격정책(정찰제)

가설적 구성개념 construct : 태도, 동기, 인지적 디서넌스 등과 같이 객관적 실체를 관찰할 수 없는 개념들에 대하여 그들에 관한 사고를 돕기 위하여 가설적으로 창안된 개념들.

가정생활주기 family life cycle : 가정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가정의 독특한 욕구와 자금사정을 근거로 하여 단계별로 구분한 것으로서 각 단계별로 욕구, 제품의 구매와 소비패턴, 자금여건 등의 특성을 묘사한다. 또한 비가정형태의 가계를 고려하여 가정생활주기를 수정한 가계생활주기도 있다.

가족상표 family brand : ☞ 통합상표

가치 value : 제품이나 서비스가 소비자의 기본적인 욕구 및 필요를 충족시키거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추정치. 소비자는 그가 지불해야 하는 가격과 이러한 가치를 대비하여 교환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 효용

가치분석 value analysis : 일단 제품을 개발한 후, 제품의 품질에 기여하지 않는 불필요한 원가요소들을 확인해 내고 원가절감을 이룩하면서 제품이 개선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조직적인 검토.

간격척도 interval scale : 대상들이 갖고 있는 속성내용의 차이에 숫자를 조응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때 사용된 숫자는 속성내용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낼 뿐 아니라 숫자간의 차이는 속성내용의 차이를 반영하므로 가감산이 가능하다.

감각전이 sensation transference : 제품의 성격을 색채, 디자인, 재질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단서로부터 유추하려는 인지적 성향으로서 제품뿐 아니라 점포나 기업, 사람 등 모든 지각대상에 대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감성적 동기 emotional motive : 남과 다르게 보이려는 욕망, 준거집단과 동일시되려는 욕망,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끌려는 욕망, 남들의 선망을 받으려는 욕망 등 주로 심리적 및 사회적 만족과 관련되는 행동이유. ⇔ 이성적 동기

감퇴적 수요 faltering demand : 잠재고객의 기호변화, 경쟁, 마케팅 환경요인의 변화 등으로 제품에 대한 실제 수요가 이전보다 낮아지고 있는 수요상태이다.

개념시험 concept testing : 신제품개념을 묘사하고 그것에 대한 잠재고객들의 선호나 태도 등의 반응을 평가하는 일로서 신제품개념의 변경 또는 표적시장의 선정에 도움이 된다. 대체로 컨조인트 분석이 널리 적용된다.

개념적 정의 conceptual definition : 하나의 개념을 상호관련된 다른 개념들로 언급한 것으로서 훌륭한 개념적 정의는 그 개념의 기본적인 정수를 분명하게 묘사하여 그것을 유사하지만 별개의 개념들로부터 구별해야 한다.

개발적 마케팅 developmental marketing : 잠재적 수요상태에서 잠재고객들이 공통적으로 で원하는 바と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을 개발하는 마케팅 관리과업이다.

개별상표 individual brand : ☞ 통합상표

개수가격정책 even pricing policy : 고급품질의 가격이미지를 형성하여 구매를 자극하기 위하여 우수리가 없는 개수의 가격을 구사하는 정책. ⇔ 단수가격정책

개재변수 intervening variable : 자극과 반응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변수들로서 자극변수는 일단 개재변수에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 개재변수가 반응변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광고물은 일단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그러한 태도를 바탕으로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친다면 태도는 개재변수이다.

거래경로 trade channel : ☞ 마케팅 경로, 마케팅 경로의 분리

거래점 광고 trade advertising : 재판매업자로 하여금 특정한 생산자의 제품을 취급하고 판매하도록 권유하는 광고로서, 대체로 재판매업자들이 자신의 매출액과 이익을 어떻게 증대시킬 수 있는지를 설명하거나 생산자의 마케팅 활동을 소개한다.

거래점 할인 trade discounts : 중간상인들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보상으로서 생산자가 제공하는 할인. ☞ 기능할인

거시마케팅 macro(-level) marketing : 마케팅을 사회적 과정으로 파악하는 거시적 관점의 마케팅으로서 '사회 전체의 이질적인 공급능력을 이질적인 수요와 효과적으로 대응시키고, 사회의 장/단기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전체 경제 시스템의 제품들이 생산자들로부터 소비자들에게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는 사회경제적인 활동'으로 정의된다.

거시세분화 macro segmentation : 산업고객의 규모, 제품사용율, 제품의 용도, 산업분류의 범주, 기업의 구조, 지리적 입지, 최종시장의 성격, 구매상황 등 전반적인 특성을 근거로 하여 산업고객들을 세분시장으로 분할하는 일. ☞ 미시세분화, 계층적 세분화

거시적 환경요인 macroenvironments :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대하여 외부적 제약으로서 작용하는 시장의 인구통계적 특성, 경제적 특성, 자연적 특성, 기술적 특성, 정치적/법적 특성, 사회적/문화적 특성, 경쟁적 특성. ☞ 환경요인

검증통계량 test statistics : 표본조사의 결과로부터 계산된 통계량으로서 で계산된 통계량と이라고도 한다. ⇔ 임계통계량

견인전략 pull strategy : 경로전략 또는 촉진전략의 한 형태로서 최종고객에 대한 집중적인 설득(광고)을 통하여 그들로 하여금 마케팅 경로를 통하여 제품을 끌어당기도록 하는 전략대안. ⇔ 후원전략

결합수요 joint demand : 산업고객은 다양한 산업 마케터들로부터 산업용품들을 구매하여 자신의 최종제품을 만들기 때문에 한 산업용품의 수요가 다른 산업용품들의 수요와 공동으로 발생하는 현상.

경로갈등 channel conflict : 경로구성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으로서 마케팅 경로의 동일한 단계에서 활동하는 경로구성원들 사이의 수평적 갈등과 동일한 고객에게 접근하고 있는 상이한 형태의 중간기관들 사이의 형태간 갈등, 마케팅 경로의 상이한 단계에서 활동하는 경로구성원들 사이의 수직적 갈등 등의 형태가 있다.

경로구조 channel structure : 제품을 최종고객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필요한 유통단계의 수와 각 단계를 구성하는 중간상인들의 독특한 형태로서 생산자와 최종고객을 모두 포함한다.

경로의 길이 length of channel : 경로구조에서 생산자와 최종고객 사이에 개재하는 유통단계의 수. ≒ 경로의 수준

경로역학 channel dynamics : 마케팅 환경요인들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마케팅 중간기관이 출현하여 기존의 중간기관들과 협동 및 경쟁의 관계를 가지면서 마케팅 경로의 기능을 수행해 나가는 현상.

경로조성금 push money : 중간상인에게 자신의 제품을 특별히 진열해 주거나 촉진해 줄 것을 요구하면서 대금의 일부를 감면해 주는 공제로서 촉진공제와 유사하다.

경쟁구조 분석 competitive structure analysis : ☞ 포지셔닝 분석

경험곡선 experience curve : 누적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작업효율이 증대될 뿐 아니라 생산시간이 단축되고 원료의 낭비가 감소하여 단위당 생산원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도식화한 것. ≒ 학습곡선, 학습효과

경험영역 field : 개인이 그의 생애 동안 겪어온 모든 경험의 총합으로서 다양한 상징에 대하여 개인이 부여하는 독특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계절할인 seasonal discounts : 에어콘이라든가 수영복과 같이 계절성이 뚜렷한 제품의 마케터가 비수기에 구매하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할인.

계층적 세분화 nested approach : 매우 일반적인 것들로부터 조직에 구체적인 특성에 관련되는 것들의 방향으로 세분화 근거들의 계층적 구조를 가정하여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시장세분화. ☞ 거시세분화, 미시세분화

고객 customer : 교환에 있어서 마케터의 상대방을 말하며, 자신에게 제공되는 것을 수용하고 마케터가 원하는 것을 반대급부로서 기꺼이 제공하는 측이다. 쉽게 말하여 우리에게 돈을 지불하는 모든 사람은 고객인 것이다. 그러나 특별히 소비자와 구분할 때 고객은 특정한 기업 또는 상표의 구매자이며 소비자는 제품범주의 구매자를 지칭한다.

고객기반 customer base : 제품의 효익을 근거로 하여 で원하는 바と를 충족시킬 것으로 판단되는 고객들을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개념.

고객유인 가격정책 leader pricing policy : 중간상인이 고객의 내점을 유도하기 위하여 일부 품목의 가격을 한시적으로 인하하는 정책으로서 이때 가격이 인하되는 제품을 전략제품 또는 고객유인용 손실품이라고한다.

고객유인용 손실품 loss leader : 한시적으로 인하된 가격으로 판매됨으로써 고객들의 점포내방을 유인하여 전반적인 매출액을 증대시키기 위해 선택된 제품. ☞ 고객유인 가격정책

고객제일주의 : 마케팅의 모든 활동들을 고객이 で원하는 바と에 맞추어 조정하고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여 고객만족을 충족시키는 일을 마케팅의 1차적 목표로 삼는 정신.

고객지향성 customer orientation : 총체적 마케팅, 목표지향성과 더불어 마케팅개념의 삼대정신을 구성하는데 고객을 모든 마케팅활동의 초점으로 삼는 정신이다. 대체로 ぢ고객은 왕이다.っ 또는 ぢ고객은 항상 옳다.っ는 등의 격언들이 이러한 정신을 반영한다. ☞ 고객제일주의

공생적 마케팅 시스템 symbiotic marketing system : ☞ 수평적 마케팅 시스템

공제 allowances : 제품가격 자체를 낮추는 할인과는 달리, 시장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지 일정한 조건 하에서만 대금의 일부를 감면해 주는 가격정책. ☞ 중고품 교환공제, 촉진공제(진열공제를 포함), 할려금, 경로조성금

공헌이익 : 제품의 판매가격에서 변동원가를 차감한 금액으로서 고정원가를 상쇄시키고 순이익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다. 공헌이익을 가격으로 나눈 값은 공헌이익율이라고 한다. ☞ 손익분기점

관습가격 customary price : 껌이나 우유, 짜장면 등 일부 편의품에 대하여 오랜 동안 마케터와 고객들 사이에 공정하다고 인정되어 온 가격으로서 이러한 가격의 변화는 매우 탄력적인 수요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대체로 안정적인 경향이 있다. ≒ 전통가격

관여 involvement : 구매 또는 소비행위가 의사결정자에게 갖는 개인적 중요성 또는 관여성으로서 고가품, 복잡한 제품, 많은 위험을 수반하는 제품, 상표간의 품질차이가 큰 제품, 자아 이미지에 관련되는 제품 등에서 관여도가 높은 경향이 있다.

광고 advertising : 특정한 후원자에 의해 비용이 지불되는 모든 형태의 비인적 판매제시를 지칭한다. 판매제시란 제품 또는 서비스, 아이디어 등에 관한 것이며 마케터는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의 매체를 통하여 그의 메시지를 고객들에게 제시한다.

광고물 advertisement : 메시지의 창출 → 평가와 선정 → 제작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수신자들에게 노출되는 상징적 표현물.

광고성 advertisability : 광고비 지출에 대한 매출액의 민감도 또는 광고의 판매유발 효과로서 제품에 따라 다르며, 광고성이 낮은 제품에게서 광고효과는 저조할 것이다.

구매단계 buystage : 산업고객의 구매과정을 묘사하는 문제의 인식 또는 예견, 필요한 품목의 특성과 수량의 결정, 필요한 품목의 특성과 수량의 기술, 공급자 탐색과 자격심사, 제안서의 수취와 분석, 제안서의 평가와 공급자 선정, 주문절차의 확립, 성과의 피드백과 평가 등의 여덟 단계.

구매시나리오 buying scenarios : 제품과 구매조직이 당면하는 구매문제의 특성에 따라 분류한 구매상황으로서 단순재구매, 수정재구매, 신규구매의 세 가지가 있다.

구매시점 촉진 point-of-purchase promotion : 일단 점포를 방문하고 있는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구매를 설득하기 위해 설계된 모든 판매촉진 자극으로서 만국기, 가격표, 진열시렁, 포스터 등을 포함한다. ☞ 판매시점 정보관리

구색탐색활동 assortment-search activities : 교환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양과 질의 측면에서 고객들이 원하는 구색을 탐색하여 공급을 조정하는 마케팅 중간기관의 활동으로서 분류, 축적, 할당, 구색을 포함한다.

구매행렬 buygrid : 산업고객의 구매단계와 구매상황을 결합하여 행렬의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서 산업 마케팅 전략의 틀로 이용된다. ☞ 구매단계, 구매시나리오

귀무가설 null hypothesis : 모집단 내에서 변수들 사이에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거나 또는 모집단들 사이에 특성차이가 없다는 명제로서 통계적 절차를 통하여 진실여부가 검증된다. 표본조사에서 발견된 변수간의 관계나 집단간의 차이가 단순히 표본오차에 기인한 것이라고 진술하는 명제. ⇔ 대립가설

규범 norms : 구체적인 상황 항서 허용될 수 있는 행동의 방향(범위)로서 그 사회의 가치를 근거로 하여 결정된다.

규범적 마케팅 normative marketing : 마케팅 활동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규명하려는 접근방법이다.

균일가격 인도정책 uniform delivered pricing policy : 각 고객들이 부담할 수송비를 평균하여 거리에 관계없이 제품가격에 포함시키고 마케터가 직접 수송업무를 관장하는 지역적 가격정책. ☞지역별 균일가격 인도정책

균일가격정책 single-price policy : DC 1000 이나 8천량 하우스와 같이 점포가 취급하는 모든 품목에 대하여 동일한 가격을 취하는 정책. ☞ 가격단계정책

그린 마케팅 green marketing : 환경 컨슈머리즘이 제기하는 기회와 위협들에 적응하기 위하여 마케팅 활동을 조정함으로써 환경친화적 조직으로 변신하려는 노력.

기각역 rejection area : 표본분포에 있어서 임계통계량보다 극단적인 통계량들의 집합으로서 만일 표본통계량이 기각역에 속한다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 채택역

기관광고 institutional advertising : 제품이나 서비스 그 자체를 구매하도록 잠재고객을 직접적으로 설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에 대하여 호의적인 이미지를 형성시키기 위한 광고.

기능할인 functional discounts : 마케팅을 위하여 생산자가 수행해야 하는 기능 중 일부를 중간기관(또는 고객)이 대신 수행하는 데 대하여 제공하는 할인. ≒ 거래점 할인

기술수명주기 technological life cycle : 과학적 성과로서 새로운 기술이 개발된 이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활용되다가 급기야는 새로운 기술에 의해 대체되어 가는 모습으로서 제품의 수명주기와 유사한 개념이다.

기술적 조사 descriptive research : 마케팅 현상을 묘사하거나 어떤 사상의 빈도를 측정하고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을 결정하거나 미래의 마케팅 현상을 예측하려는 조사.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을 결정해 주지만 결코 인과관계를 밝혀주지 못한다는 데 유의해야 한다. ☞ 조사설계

기억 memory : 이전의 학습결과들의 총체로서 간혹 장기기억이라고도 부른다. 이에 비하여 단기기억이란 전체기억 중에서 특정한 시점에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활동화되어 사용 중인 부분이며 활동적 기억이라고도 한다.

기업광고 corporate advertising : ☞ 기관광고

기업기회 company opportunities : ☞ SWOT 분석 ⇔ 환경기회

기업사명 company mission: 기업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려는 존재가치로서 개별 구성원이나 하부조직들이 독립적으로 활동하면서도 그들의노력이 한 방향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で보이지 않는 손と으로 작용하며, 간혹 기업사명문의 형태로 명문화도기도 한다.

기업 이미지 통일화 작업 corporate identity program : 소비자는 기업에 관한 여러 가지 외부적 자극과 제품경험을 근거로 기업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훌륭한 기업 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증대시켜 준다는 점에서 시도되는 기업명이나 심벌마크, 로고 등의 변경 작업.

기업충성 corporate loyalty : 특정한 기업에 대하여 보이는 충성. ☞ 상표충성

기점가격정책 basing-point pricing policy : 균일가격 인도정책을 적용하기 위하여 평균수송비를 계산하는 데 있어서 실제 마케터로부터의 수송비가 아니라 제품이 가장 많이 생산되는 지역(基點)으로부터의 수송비를 고려하는 지역적 가격정책. 대체로 자연생산물의 가격결정에 널리 이용된다. ☞ 균일가격 인도정책

기준가격 base price : 여러 가지 가격구조의 근거로 이용하기 위하여 마케터가 제품의 생산원가와 수요수준, 경쟁자의 가격을 분석하여 관리회계의 측면에서 내부적으로 결정한 가격. 기준가격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원가지향적 방법, 수요지향적 방법, 경쟁지향적 방법으로 구분된다.

기호화 coding : 마케팅 조사자료의 처리와 분석이 용이하도록 각 응답에 기호(대체로 수치)를 할당하는 일.

기호화 encoding : 커뮤니케이션의 송신자가 자신이 갖고 있는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언어적 및 비언어적 상징을 이용하여 메시지로 전환시키는 작업. ⇔ 해독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용어사전 5..  (0) 2008.09.18
마케팅 용어사전 4..  (0) 2008.09.18
마케팅 용어사전 3..  (0) 2008.09.18
마케팅 용어사전 2..  (0) 2008.09.18
RFM  (0) 2008.09.17
고객충성도  (0) 2008.09.17
기획제안서작성요령  (0) 2008.09.17
3PL, 4PL  (1) 2008.09.17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